티스토리 뷰
🐣 GitHub란 무엇인가요?
GitHub는 **소스코드 버전 관리 시스템(Git)**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저장소(Repository) 서비스입니다.
전 세계 개발자들이 함께 협업하고, 오픈소스를 공유하며,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데 활용되고 있어요.
간단하게 말하면,
“코드 저장소 + 협업 도구 + 버전 관리 기능”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
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💡 Git과 GitHub의 차이점
Git GitHub
로컬에서 사용하는 버전 관리 도구 | 클라우드 기반 Git 저장소 플랫폼 |
명령어 기반으로 사용 | 웹 UI와 CLI 모두 지원 |
네트워크 없이도 사용 가능 | 인터넷 연결 필요 |
오픈소스 | GitHub는 Git을 활용한 서비스 |
🛠️ Git 설치 및 GitHub 기본 설정
1. Git 설치
- 공식 사이트 접속: https://git-scm.com/
-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 (Windows, macOS, Linux 모두 지원)
2. Git 사용자 정보 설정
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(명령 프롬프트)을 열어 아래처럼 사용자 정보를 등록해줍니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이름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주소"
👉 이 설정은 GitHub와 연동 시 커밋 작성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.
📁 GitHub 저장소 만들기
- https://github.com에 접속해서 회원가입
- 로그인 후 오른쪽 상단 + 버튼 → New repository 클릭
- 저장소 이름, 설명 입력
-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체크 (선택)
- Create repository 클릭
이제 온라인 저장소가 생성되었어요!
💻 로컬 저장소와 GitHub 연결하기
- 로컬 폴더를 생성하고 Git 초기화
mkdir my-project
cd my-project
git init
- GitHub 저장소 연결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계정명/저장소이름.git
🔧 Git 기본 명령어 정리
📌 파일 추적 및 커밋
명령어 설명
git status | 변경사항 확인 |
git add 파일명 | 스테이징 (commit 대상 지정) |
git commit -m "메시지" | 커밋 저장 (버전 기록) |
git log | 커밋 히스토리 확인 |
📌 원격 저장소 연동
명령어 설명
git push origin main | 로컬 → GitHub 업로드 |
git pull origin main | GitHub → 로컬로 최신화 |
git clone 저장소URL | 저장소 복제 (내 컴퓨터로 가져오기) |
🤝 GitHub 협업 기능
- Fork: 다른 사람의 저장소를 내 계정으로 복사
- Pull Request (PR): 수정한 내용을 원본 저장소에 반영 요청
- Issues: 버그, 개선사항 등을 논의하는 공간
🔁 Git 핵심 명령어 개념 완전 정복
📝 1. git add
"작업한 파일을 커밋할 준비를 한다"
git add는 코드 변경사항을 **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**에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.
스테이징 영역에 올려야만 커밋할 수 있어요.
git add 파일명 # 특정 파일만 스테이징
git add . # 현재 폴더 내 모든 변경 파일 스테이징
🔹 한마디로: “이 파일들 저장할 거야!” 라고 Git에게 알려주는 과정
💾 2. git commit
"스냅샷처럼 코드 상태를 저장한다"
commit은 스테이징된 파일들을 하나의 **버전(기록)**으로 저장하는 행위입니다.
각 커밋은 고유한 ID를 가지며, 변경 내역을 추적할 수 있게 해줍니다.
git commit -m "작업 내용 설명"
🔹 한마디로: “이 시점의 코드 상태를 저장해줘!”
📤 3. git push
"로컬 커밋을 원격 저장소(GitHub)로 전송한다"
로컬에서 작업하고 커밋한 내용을 GitHub에 반영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.
협업 시, 팀원들과 최신 커밋을 공유할 수 있게 돼요.
git push origin main # main 브랜치에 push
🔹 한마디로: “내 컴퓨터에서 작업한 내용, GitHub로 올려줘!”
📥 4. git pull
"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사항을 내 컴퓨터로 가져온다"
협업 중이라면 다른 사람이 작업한 내용이 GitHub에 반영되었을 수 있어요.
그럴 때 pull 명령어로 최신 상태를 가져오고 병합합니다.
git pull origin main
🔹 한마디로: “GitHub에 있는 최신 코드 좀 가져와줘!”
⬇️ 5. git fetch
"원격 저장소의 변경 내역만 가져오고, 병합은 하지 않는다"
pull은 가져오면서 자동 병합까지 하지만, fetch는 가져오기만 하고 병합은 수동입니다.
변화를 비교하고 싶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git fetch origin
🔹 한마디로: “GitHub에 뭐가 바뀌었는지 확인만 해볼게!”
📦 6. git clone
"GitHub에 있는 저장소를 통째로 복사해온다"
처음부터 GitHub에 올라간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로 가져올 때 사용해요.
단순히 파일 복사만이 아니라, 버전 이력까지 그대로 복사됩니다.
git clone 저장소주소
🔹 한마디로: “이 프로젝트, 내 컴퓨터에 통째로 복사해줘!”
🧭 핵심 개념 요약 테이블
명령어 역할
git add | 변경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|
git commit | 스테이징된 파일을 하나의 버전으로 저장 |
git push | 로컬의 커밋을 원격 저장소(GitHub)로 업로드 |
git pull |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와 병합 |
git fetch | 원격 저장소에서 변경 사항을 가져오기만 (병합 X) |
git clone | GitHub 저장소를 통째로 복제 (처음 시작 시 사용)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코딩입문
- 파이썬반복문
- 파이썬함수
- for문
- 크롤링
- 파이썬예제
- 파이썬모듈
- 파이썬크롤링
- IF문
- 파이썬공부
- 프로그래밍기초
- 파이썬입문
- 파이썬for문
- 데이터분석
- While
- 인덱싱
- 반복문
- 웹크롤링
- Python
- 파이썬기초
- 파이썬while
- 조건문
- 파이썬자료형
- 리스트반복
- 코딩초보
- 파이썬배우기
- 웹기초
- 파이썬
- 슬라이싱
- 웹스크래핑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